Surprise Me!

[뉴스초점] 불법 해킹 주의보…현황과 대책은

2020-01-20 0 Dailymotion

[뉴스초점] 불법 해킹 주의보…현황과 대책은<br /><br /><br />스마트폰 해킹 문제와 대책에 대해 전문가와 의견 나눠보겠습니다.<br /><br />이상진 고려대 정보보호대학원장, 자리에 나와 주셨습니다.<br /><br />어서오세요.<br /><br /> 배우 주진모 씨, 셰프 최현석 씨 등 유명인들이 스마트폰을 해킹당해 큰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. IT업계에서는 이중 잠금을 하면 피해를 막을 수 있다고들 하는데, 정보 전문가의 입장에서 이 문제 어떻게 보십니까?<br /><br /> 이번 사건처럼 개인정보 유출로 인한 사이버 범죄가 증가세를 보이고 있습니다. 특히 금융범죄의 경우 메신저 피싱 피해가 심각한데요. 나이를 불문하고 조심한다고 해도 순식간에 피해를 당하는 경우가 많은 것 같아요. 현황이 어떻습니까?<br /><br /> 개인정보는 주로 어떤 경로를 통해서 유출이 되는 겁니까? 또 본인이 스스로 자신의 정보가 도용됐다는 사실을 즉각 알 수는 없나요?<br /><br /> 우리나라는 인터넷과 스마트폰 사용률이 세계 최상위 수준인데요. 그만큼 누구나 사이버 범죄의 표적이 될 수 있다는 의미로도 읽힙니다.<br /><br /> 모든 것이 연결된 인터넷은 편리하긴 하지만, 문제는 한 사람이 해킹을 당했다면 2차, 3차 피해자가 순식간에 무더기로 발생한다는 건데요. 휴대전화 한 대가 해킹 당하면, 정보 유출이 어느 정도로 빨리 확산하는 겁니까?<br /><br /> 개인 차원의 정보 유출도 심각하지만 기업의 회원 정보 유출도 심각합니다. 한번 해킹된 정보는 되돌리기 쉽지 않아 보입니다. 일반적으로 유출된 개인정보들은 어떻게 다시 수습돼서 보안이 되나요?<br /><br /> 그렇다면 해킹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기술이 있나요? 보안 기술을 발전시키면 반대로 그만큼 해킹 기술도 발달하는 건가요?<br /><br /> 평소에 개인정보를 잘 관리해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게 중요해 보입니다. 사이트마다 다른 비밀번호를 쓰고 두세 달마다 바꾸라는 권고를 많이 들었는데, 쉽지 않은 게 사실입니다. 현실적용 가능한 원칙이 있다면요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

Buy Now on CodeCanyon